본문 바로가기
건강

경구피임약의 종류와 복용법, 부작용 및 먹으면 안되는 사람에 대해 알아보자.

by 땡갈이 2023. 9. 17.
반응형

경구피임약

경구피임약

우리가 가장 흔히 알고 있는 피임방법인 콘돔은 남성이 사용하는 것이지만, 피임약은 여성이 사용하는 피임방법으로 피임을 목적으로 몸속에 투여하는 약이다. 피임약은 여성의 몸에서 수정란의 착상을 방해 및 배란 억제를 발생시켜 임신을 막는 막아내는 역할을 한다.

피임약은 여성이 출산조절을 가능하게 만들었고, 성생활을 임신걱정없이 즐길 수 있도록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인류의 인구조절이나 여성해방, 인류 복지에도 큰 영향을 끼친 약으로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뽑힌다.

참고로 경구피임약이란, 입으로 먹는 피임약을 말하는 것이다.

 

 

경구피임약 종류

경구피임약은 상황에 따라 크게 2종류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하나는 성행위 전에 먹는 것과 다른 하나는 성행위 후에 먹는 것으로 말이다.

먼저 성행위 전에 먹는 경구피임약인 '사전피임약'은 우리가 흔히 잘 알고 있는 머시론, 마이보라, 야스민 등이다. 이것은 여성의 몸에서 분비되는 성 호르몬을 조절하거나 여성의 몸 속에 호르몬을 투여하여 자연적인 호르몬 주기를 없애 호르몬 주기 및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임신이 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여성이 경구피임약을 지속적으로 꾸준히 먹었다면 남성이 여성에게 질내사정을 해도 임신을 거의 99% 피할 수 있으니, 남녀 모두 임신에 대한 큰 걱정없이 성행위를 즐길 수 있다.

다음으로 성행위 후에 먹는 경구피임약은 '사후피임약'이다. 말 그대로 '일이 끝 난 후에' 먹는 피임약이며, 이름을 들어보면 느낌적으로 알겠지만 위급할 때 쓰게 되는 약이다. 사후피임약은 의도치 않은 질내사정이 이루어졌을 때 여성이 임신을 막기 위해 먹는 피임약이다. 앞서 말한 성행위 전에 먹는 경구피임약보다 프로게스테론 유사 물질 농도가 근 20배가 높으므로 성관계 이후에 정자와 결합하여 수정된 난자인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는 것 또한 막을 정도로 강한 약이다. 사후피임약은 질내사정이 일어난 후 최대한 빨리 먹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으며, 72시간 이내에 복용해야지  효과가 있다(참고로, 엘라원정은 72시간을 넘어 120시간이내 먹어도 효과가 있을 정도라고 한다). 자궁에 이미 착상이 일어났다면 효과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사후피임약으로는 엘라원정, 세븐투에이치정, 노보레원정 등이 있다. 상당히 강한 약인 만큼 여성의 몸에 안 좋은 약이므로, 최대한 약을 안 쓰는 것이 좋지만 만약 먹게 된다면 남성이 여성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거니와 두 사람 모두 여성의 몸을 잘 보살피도록 해야 한다.

 

 

경구피임약 복용법

성행위 전에 먹는 경구피임약은 매일 규칙적인 시간에 복용해야 하며, 처음 복용 시에 생리 시작 1일 차부터 매일 1정씩을 복용하고 21일간 복용한 후에 7일간 휴약해야 한다. 휴약 8일째에는 생리 중이라도 다시 복용을 시작해야 하며, 복용을 중지하게 되면 일반적으로는 2~3일 이내에 생리를 시작하게 된다. 생리 시작 후 5일째부터 복용을 한다면 확실한 피임을 위해 일주일 정도는 콘돔 등 다른 피임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성행위 후에 먹는 경구피임약인 '사후피임약'은 질내사정이 이루어진 후에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먹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효과가 낮아진다. 보통 대부분의 약이 72시간 내에 복용하면 효과가 있으며, 엘라원정의 경우는 120시간 이내에 먹어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경구피임약 부작용

경구피임약은 호르몬을 조절하는 호르몬제이기 때문에 신체에 다양한 변화와 불편함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복용 시 두통, 유방통, 부정출혈, 위장장애, 붓기 등이 생길 수 있다. 대부분 3개월 정도가 지나면 몸이 적응하여 증상이 사라지기는 하지만, 심상치 않을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사후피임약 역시 부정출혈, 피로, 어지러움, 복통, 구토, 월경의 변화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증상이 48시간이 지나도 계속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경구피임약 복용하면 안 되는 사람

경구피임약 안에 들어있는 에스트로겐은 혈액을 끈적하게 만들어 혈전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현관질환 환자나 당뇨 등 가족력이나 지병이 있는 사람은 사용을 금해야 한다. 그 외에도 비만, 편두통, 유방암 및 자궁 환자, 혈전 환자, 고혈압, 흡연자, 35세 이상 여성은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

.

.

참고로 피임약은 콘돔과 달리 성병을 예방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정말 안전한 성관계를 원한다면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그렇다고 콘돔이 또 무적의 성병예방 피임법인 것은 절대 아니다). 콘돔과 피임약을 같이 사용한다면 더욱 좋다.

반응형

댓글